본문 바로가기

Opera 공부해보아요

Elgar: Cello Concerto in E Minor, Op. 85 · Natalie Clein/Royal Liverpool Philharmonic Orchestra/Vernon Handley

Elgar: Cello Concerto in E Minor, Op. 85 · Natalie Clein/Royal Liverpool Philharmonic Orchestra/Vernon Handley



Elgar: Cello Concerto in E minor, Op.85
엘가 첼로 협주곡 Op.85
Edward Elgar 1857-1934 영국

1. Adagio - Moderato
2. Lento - Allegro molto
3. Adagio
4. Allegro - Moderato - Allegro ma non troppo

Elgar: Cello Concerto
℗ 2007 Parlophone Records Ltd, a Warner Music Group Company

Natalie Clein · Royal Liverpool Philharmonic Orchestra · Vernon Handley
     
엘가 첼로 협주곡
Cello Concerto in E minor, Op.85
〈첼로 협주곡〉 Op.85는 엘가의 마지막 대작인 동시에 첼로 레퍼토리의 초석이 되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엘가가 1919년 완성한 20세기 기념비적인 첼로 협주곡이다. 초연 실패후 한동안 잊혀지는 듯 했으나 영국의 여성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Jacqueline Du Pre)가 연주한 후 재평가를 받아 세계적인 인기곡이 되었으며, 이후 첼로 협주곡의 새로운 표준이 되어준 작품이다.

첼로 레퍼토리의 초석
엘가의 〈첼로 협주곡〉 Op.85는 작곡가의 마지막 대작인 동시에 첼로 레퍼토리의 초석이 되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다. 엘가는 1차 세계 대전 종전 직후인 1918년에서 1919년 사이 이 곡을 작곡했다. 작품의 초연은 1919년 10월 27일 런던의 퀸즈 홀에서 첼리스트 펠릭스 살몬드(Felix Salmond, 1888~1952)와 엘가 자신이 지휘했던 런던 교향악단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펠릭스 살몬드는 영국 출신의 첼리스트로, 이전에 엘가의 현악 4중주와 피아노 5중주 연주에 참여한 바 있고, 영국과 미국에서 영향력 있는 첼로 선생으로 후학을 양성했던 인물이다.


초연의 실패
엘가는 작품을 완성한 후 ‘나의 진정한 대작’이라며 만족했지만, 안타깝게도 이 곡의 초연은 성공적이지 못했다. 초연 당시(1919년) 연주 프로그램은 엘가의 〈첼로 협주곡〉과 스크랴빈의 〈교향곡 4번 ‘법열의 시’〉였고, 〈첼로 협주곡〉은 엘가가, 〈법열의 시〉는 앨버트 코츠(Albert Coates, 1882-1953)가 지휘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앨버트 코츠가 리허설 시간을 초과하는 바람에, 엘가는 자신의 곡 리허설을 위해 1시간이나 기다려야 했다. 결국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리허설이 부족한 상태로 무대에서 연주되었고, 청중들의 반응도 미지근했다. 몇몇 비평가들은 당시의 리허설 상황에 대해 생존해 있는 영국의 대 작곡가에 대한 예우가 아니라며 비판했다고 한다.

불멸의 걸작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명상적이고 구슬프다. 이 곡은 초연 실패 후 인기를 얻지 못하다가, 파블로 카잘스(Pablo Casals, 1876-1973)의 연주로 명예를 회복했고, 1960년대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Jacqueline Du Pré, 1945-1987)와 존 바비롤리(John Barbirolli, 1899~1970)가 지휘하는 런던 관현악단의 연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며, 불멸의 대작으로 자리 잡게 된다. 자클린 뒤 프레는 영국 출신의 여류 첼리스트로 지휘자 바렌보임의 아내인데 당시 최고의 첼리스트로 찬사를 받았으나, 다발성 경화증이라는 난치병 때문에 28세의 나이로 연주 활동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던 비운의 연주자였다.

4악장으로 이루어진 첼로 협주곡
협주곡은 일반적으로 3악장으로 구성되는 데 반해,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4악장으로 이루어졌고, 1악장과 2악장, 3악장과 4악장은 휴지 없이 바로 이어진다. 1악장은 첼로 독주자의 거창한 연주로 시작된다. 1악장은 시종일관 독주자가 오케스트라를 지배한다. 첼로의 연주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이 응답한다. 그리고 비올라가 주제를 연주하면, 이어서 첼로가 그것을 반복한다. 현악기 섹션과 첼로, 오케스트라와 첼로가 차례로 주제를 연주한 후, 서정적인 E장조 섹션이 등장하고, 이어 첫 번째 섹션이 반복된다. 그리고 독주자가 현을 뜯어 화음을 연주하며 2악장이 시작된다. 3악장은 서정적인 선율로 시작되며, 하나의 주제가 전체 악장을 지배한다. 그리고 자유로운 론도 형식의 4악장이 바로 이어진다.
ⓒ 음악세계 & 음악사연구회(사)



엘가 첼로 협주곡 Op.85
[ Edward Elgar, Cello Concerto in E minor op. 85 ]
에드워드 엘가(Edward Elgar, 1857~1934)는 헨리 퍼셀과 조지 프리데릭 헨델 이후 참으로 오랜만에 등장한 영국 출신의 세계적인 작곡가였다. 헨델의 경우엔 주로 영국에서 활동했지만 독일 태생의 작곡가였고, 퍼셀은 300년 전인 17세기의 작곡가였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아름다운 바이올린 소품 [사랑의 인사]와 [수수께끼 변주곡], [위풍당당 행진곡]으로 유명한 엘가는 무엇보다도 20세기에 작곡된 첼로 작품 중 가장 비극적인 곡 [첼로 협주곡 E단조]를 남긴 작곡가다.
영국의 작곡가 에드워드 엘가가 남긴 유일의 첼로 협주곡이자 낭만주의 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첼로 협주곡의 걸작이다. 엘가가 1919년 완성한 20세기 기념비적인 첼로 협주곡이다. 초연 실패후 한동안 잊혀지는 듯 했으나 영국의 여성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Jacqueline Du Pre)가 연주한 후 재평가를 받아 세계적인 인기곡이 되었으며, 이후 첼로 협주곡의 새로운 표준이 되어준 작품이다.


감정의 클라이막스에 이르는 비탄에 잠긴 첼로의 노래
일반적으로 협주곡은 3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엘가는 교향곡과 같이 4개의 악장으로 작품을 구성했다. 이 작품은 1, 2악장과 3, 4악장을 서로 묶어서 휴식없이 연주한다. 많은 사람들이 이 곡에서 위로를 받는다. 어둠 속에서 은은하게 번지는 슬픔의 입자들이 온몸을 휘감는 듯한 느낌은 매우 특별한 체험을 제공한다. 엘가의 이 위대한 [첼로 협주곡]이 가지고 있는 가장 커다란 힘은 ‘마음의 위로’에 있다. 이 음악은 절망에 빠진 사람들을 슬픔의 바다에서 빛의 세계로 인도한다. 꿈보다 오래된 기억처럼, 가슴 속 아주 깊은 곳에서 퍼져나오는 눈물 같은 조각들은 엘가의 한숨과 섞여서 흐른다. 첼로의 저음은 이토록 절절한 감정들을 핏빛으로 물들이며 흔들린다. 엘가는 “내가 말하고 싶었던 것은 작품의 간단한 구조 안에 있다”고 말했는데, 삶에서 죽음 쪽으로 무너지는 인생에 대한 추억이 박혀있는 듯한 느낌은 [첼로 협주곡]의 흐름을 타고 감정의 클라이막스를 구성한다.
제1차 세계대전이 한창이던 1918년 3월 22일 영국의 햄스티드에서 엘가는 [첼로 협주곡]의 첫 번째 스케치를 쓰기 시작했다. 종종 대포 소리가 들리는 와중에도 엘가는 부지런히 작곡을 계속했고, 마침내 7월에는 거의 마무리 단계에 와 있었다.
작품을 완성해나가던 사이사이 햄스티드의 야간 특별 경관으로 활동하기도 했던 엘가는 자신의 삶이 막바지에 와 있다는 것을 느끼며 대작 완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었다. 그 해 여름의 대부분을 바이올린 소나타와 현악 사중주를 작곡하는 데 열중했고, 첼리스트 펠릭스 잘몬트와 [첼로 협주곡]에 대해 함께 의견을 교환한 이후 7월에는 촛대를 만드는 틈틈이 협주곡의 오케스트레이션을 손보았다. 엘가는 이 [첼로 협주곡]의 헌정을 오랜 친구였던 콜빈 부부에게 바쳤다. “당신과의 우정은 너무도 소중해서 우리들의 우정을 기념하고 싶습니다. 이 협주곡이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씀드리지는 못하겠습니다만……” 작품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어 있던 작곡가는 몇 번이나 작품을 고쳤다. 8월 12일에는 일기장에 “나는 느린 악장의 마지막을 생각해내지 못할까봐 두렵다. 따로 연주한다면 그대로 두어도 괜찮을 텐테” 라며 작품에 대한 불안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1919년 10월 27일 마침내 첼리스트 잘몬트와 엘가가 지휘하는 런던 심포니의 협연으로 영국의 퀸즈 홀에서 곡을 초연했다. 청중의 반응은 썰렁했다. 많은 사람들은 엘가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던져준 달콤함을 기대했던 것이다. 더구나 오케스트라의 연습 부족도 문제였다. 악보의 출판도 2년 후에나 나왔는데, [첼로 협주곡]을 출판한 출판사의 사장은 언젠가 이렇게 말했다. “더 이상 엘가의 교향곡이나 협주곡은 원하지 않아. 다만 합창곡이라면 언제든지 환영이야” 엘가의 부인은 이 협주곡이 초연된 후 5개월 뒤에 사망했고 엘가의 우울증은 더욱 심각해졌다. 사실 엘가로 하여금 작곡에 대한 의지와 용기를 북돋아주고, 그가 절망에 빠질 때마다 어둠 속에서 끌어올려준 존재가 바로 그의 부인이었던 캐롤린 앨리스였다. 바이올린 소품 [사랑의 인사]는 바로 이러한 사랑의 결과물이다.


비운의 첼리스트 뒤 프레의 혼이 담긴 격정적인 연주는 명연 중의 명연으로 남아있다

잔잔한 슬픔으로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 보게 하는 작품
이 첼로 협주곡은 독특한 구조로 되어 있는데, 네 악장은 엘가의 [바이올린 협주곡]이 그랬던 것처럼 일종의 순환 형식을 따른다. 이 협주곡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결정짓는 것은 독주 첼로의 첫 다섯 마디에 달려 있다. 아다지오-모데라토의 1악장은 넓은 음역에 걸친 더블스톱과 오케스트라의 현악 파트가 레치타티보와 같은 역할을 한다. 클라리넷과 바순의 역할은 어둡고 침침한 사운드에 비극적인 색채를 더한다. 목가풍의 특징적인 병행 3도가 특징적인 파스토랄 악장인데, 1악장은 단순히 서두를 여는 역할 이상을 하고 있다. 2악장은 마치 스케르초처럼 들리는데, 1악장 보다 활기찬 특징이 있다. 2악장 알레그로 몰토에는 엘가의 유머가 섞여 있으며, 첼로의 노래하는 특성이 제대로 반영되었다. 60마디 이상 이어지는 폭넓은 단선율은 고요함의 대지를 떠올리게 한다. 3악장 아다지오는 더없이 명상적이며 4악장으로 이어지는 통로 역할을 하고 있다. 4악장 알레그로-모데라토-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는 자유로운 론도이며 절망의 파도 속으로 한꺼번에 침몰하는 분위기다. 더없이 고독한 E음의 코다는 다분히 회상적이며 슬픔으로 범벅된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는 듯하다.



희귀병에 걸린 뒤 프레와 지휘자인 남편 바렌 보임의 모습

비운의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의 신들린 듯한 유명한 연주
많은 사람들에게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첼리스트 자클린 뒤 프레와 연결되어 있다. 1973년, 다발성경화증이라는 희귀병에 걸려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한 뒤 프레의 비극적인 인생은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과의 결혼 생활에도 위기를 가져오며 숱한 일화를 만들어냈다. 그녀의 첫 번째 엘가 레코딩은 거의 뒤 프레 자신과 동일시 될 정도로 유명한 음반이며, 앞으로도 오랫동안 엘가 [첼로 협주곡]의 첫 번째 선택 음반으로 남아 있을 것이다.
사실 그녀가 존 바비롤리가 지휘하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1960년대 연주는 ‘반드시’라고 할 만큼 제일 처음 들어야 하는 음반이다. 이 연주에는 뒤 프레의 눈물과 한숨이 모두 녹아 들어가 있으며 오케스트라도 최상급 연주를 들려준다. 비극성의 확장과 거대한 스케일감이 자연스럽게 융합된 연주로 다니엘 바렌보임이 지휘한 음반보다도 바비롤리와 함께 협연한 첫 번째 녹음이야말로 뒤 프레의 모든 것이다. 그녀는 자신의 앞날을 예감하듯이 고통으로 가득 찬 울림으로 엘가의 슬픔을 인류의 슬픔으로 승화시켰다.



추천음반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인기 만큼이나 녹음도 많이 있다. 뒤 프레(EMI)에 이어 두 번째로 추천하고 싶은 연주는 베아트리스 해리슨(EMI)이다. 엘가 지휘로 협연한 그녀의 연주는 뒤 프레 음반이 나오기 전까지 수십 년 동안 레퍼런스로 확고부동한 위치를 점유했던 음반이다. 1928년 녹음으로 음질이 떨어지지만, 작곡가가 인정한 연주와 엘가의 지휘를 들어볼 수 있다. 애드리언 볼트가 지휘하는 런던 필과 협연한 폴 토르틀리에(EMI)의 산뜻한 연주, 리처드 히콕스와 협연한 스티븐 이셜리스(Virgin)의 따뜻하고 온화한 연주도 추천한다.

지휘자 John Barbirolli
연주자 Jacqueline du Pré, London Symphony Orchestra
녹음연도 1965년
엘가의 첼로 협주곡은 첼로 곡의 대표작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솔로 주자는 첫 화음을 울리며 음울한 도입부를 연주할 때 테너 영역의 구슬픈 음성을 내는데, 이는 첼로의 본질을 가장 잘 대변한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을 겪으며 풍요를 잃은 영국에 던지는 엘가의 작별 인사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 작품은 국가의 기념비적 존재가 된 동시에 한 명의 영국 첼리스트를 대중의 의식 속에 깊이 심어 넣었다. 자클린 뒤 프레는 감정에 몰입한 대담한 연주로, 이전의 다소 신사적 전통에서 이 곡을 해방시켰다.
그녀의 정열적인 연주는 첫 악장의 주요 주제로 들어가는 부분에 길게 상승하는 마단조 스케일을 마치 솟구치듯 거침 없이 표현한 것으로 기억된다. 뒤 프레는 27세의 나이에 다중경화증에 걸려 짧은 생애를 마쳤다. 그녀의 비극적 삶은 이 작품이 분출하는 비극적 숭고함과 떼어낼 수 없는 관계로 사람들의 마음속에 굳혀졌다. 곡을 둘러싼 이런 배경은 작품 자체가 워낙 독창적이고 탁월했기에 관심을 끌수 있었다.
짧고 간결한 첫 번째 악장은 몹시 빠르고 쾌활한 스케르초로 이어진다. 강렬한 아다지오는 가슴을 죄는 듯 호소하다가 다시 떠들썩한 피날레로 돌아와 꿈같은 코다로 이어진다. 뒤 프레의 1965년 음반은 다소 시대에 뒤처진 연주 스타일에도 불구하고 파워풀한 예술성을 통해 음악과 청중 사이에 깊은 교감을 마련한다. 요요마의 음반 또한 탁월하지만 자클린 뒤 프레의 연주에 배어 있는 절제는 깊은 감동을 자아낸다.
“엘가는 고독으로 물러갈 때마다 전국민적 의식의 일부가 되었다.” - 랄프 본 윌리엄스


음반
Yo-Yo Ma, London Symphony Orchestra André Previn · Sony SMK 89712
A uniquely grave and beautiful performance

Torlief Thedéen, Malmö Symphony Orchestra Lev Markiz · BIS CD-486
A profoundly thoughtful reading; no one has brought such tenderness to the slowmovement

Truls Mørk, City of Birmingham Symphony Orchestra Simon Rattle
Virgin 7243 5 45356 2 8
A reading of freshness and sincerity from the Norwegian virtuoso

연주 정보
‘비운의 걸작’이 될 뻔한 이 곡은 처음 초연된 후 40여 년간 첼리스트들의 주요 레퍼토리에 포함되지 못했다. 하지만 그때에도 역사적인 가치가 있는 명연이 녹음되었는데, 바로 당대를 풍미했던 영국 출신의 여성 첼리스트인 베아트리스 해리슨(Beatrice Harrison)이 엘가가 지휘하는 뉴 심포니 오케스트라 (New Symphony Orchestra)와 협연한 1928년 녹음이다. 이 녹음은 작품의 명예 회복에도 기여했으며, 뒤프레의 녹음이 나오기 이전까지 공인된 명연이었다.
이 곡의 열렬한 옹호자였던 프랑스의 첼리스트 폴 토르틀리에(Paul Tortelier)의 녹음 두 종도 명연으로 인정받는다. 그는 1954년에는 영국의 지휘자 말콤 사전트(Malcolm Sargent)가 이끄는 BBC 심포니 오케스트라(BBC Symphony Orchestra)와 모노 녹음을 했고, 1973년에는 영국의 지휘자 아드리안 볼트(Adrian Boult)가 지휘하는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스테레오 녹음을 남겼다.
이 곡의 운명은 뒤프레의 녹음 이전과 이후가 갈린다. 무엇보다 1965년 자클린 뒤 프레(Jacqueline Du Pre)가 영국의 지휘자 존 바비롤리(John Barbirolli)가 지휘하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녹음은 이 곡을 단번에 명작 반열에 올려놓았다. 한편, 뒤프레의 녹음중 1967년 남편 다니엘 바렌보임이 이끄는 뉴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New Philharmonic Orchestra)와 가진 녹음은 화제성만으로도 관심을 집중시켰던 명연이다.
이후 중국계 첼리스트 요요마(Yo-Yo Ma)가 뒤프레가 사용하던 1712년산 명기인 다비도프 스트라디바리우스(Davidoff Stradivarius)를 물려받아 연주하고, 독일 태생의 미국 지휘자 앙드레 프레빈 (Andre Previn)이 지휘하는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한 1986년 녹음, 영국의 첼리스트 로버트 코헨(Robert Cohen)이 미국의 지휘자 찰스 맥커라스(Charles Mackerras)가 지휘하는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Royal Philharmonic Orchestra)와 협연한 1992년 녹음도 명연으로 손색없다.

▶재클린 뒤 프레, 존 바비롤리,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1965년/Warner Classics
본문에서 언급한 녹음이다. 작은 키의 거장 존 바비롤리는 엘가와 시벨리우스의 음악에서 일가를 이룬 지휘자다. 혈통으로는 영국계가 아님에도 ‘영국 지휘자’로 언급된다. 그의 지휘는 사색적이고 명상적인 동시에 웅혼한 낭만성을 드러낸다. 이 음반에서 만나는 뒤 프레의 첼로는 뜨겁고 순수하다. 음악을 향한 혼신의 집중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놓칠 수 없는 음반이다.
▶미샤 마이스키, 쥬세페 시노폴리,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1990년/DG
국내에서 구하기 용이한 음반 중에서 고른다면 미샤 마이스키의 연주를 선택하는 것도 좋다. 마이스키의 장점으로 손꼽히는, ‘노래하는 첼로’의 미덕이 살아 있다. 음악의 격렬한 생동감도 놓치지 않는다. 2장의 CD에 엘가 외에도 하이든, 슈만,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을 함께 수록했다. 오리지널 음반을 고집하는 애호가가 아니라면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 음반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엘가, 첼로 협주곡 op. 85 [Edward Elgar, Cello Concerto in E minor op. 85]



Beatrice Harrison(1892~1965) with cello, accompanied by Elgar(1857~1934) at the piano

엘가 첼로 협주곡
퍼셀 이후 200년 만에 처음으로 세계에 내세울만한 작곡가를 찾은 영국인들이 엘가에게 쏟은 사랑과 존경은 실로 대단했다. 제 1차 세계대전의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 서섹스에 별장을 구하고 겨우 안정을 되찾은 엘가는 1918년에는 실내악곡 3곡을, 1919년에는 첼로협주곡을 세상에 내놓았다. 그 해 여름 동안 저명한 첼리스트 살몬드가 별장으로 찾아와 엘가와 함께 이 협주곡을 연습한 후 10월 26일 런던 퀸즈홀에서 본인 지휘로 초연 되었다. 모처럼 다시 찾은 창작열은 이듬해 사랑하는 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소실되었고, 결국 그는 작곡에서 손을 떼었다. 마지막 대작이 되어버린 이 첼로협주곡은 오케스트라의 연습부족으로 초연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그의 오랜 친지인 여류 첼리스트 해리슨의 인상적인 연주에 힘입어 차차 인기를 회복했고, 그 후 카잘스를 위시하여 자클린느 뒤 프레, 폴토르틀리에 등의 연주와 음반 취입으로 가장 사랑 받는 첼로 레퍼토리가 되었다. 이 곡은 일찍부터 친교가 두터웠던 콜빈 일가에게 우정의 표시로 증정되었다.

연민의 우울함으로 가득 찬 첼로 협주곡
1919년 엘가의 예순 두 번째 생일날, 지휘자 랜든 로날드(Landon Ronald)는 브링크웰즈를 방문하였고, 엘가는 그에게 이 협주곡의 긴 패시지들을 피아노로 들려주었다. 3일 후에는 엘가의 실내악 작품들을 초연할 때 참여하였던 첼리스트 펠릭스 잘몬트(Felix Salmond)가 찾아와 이 작품을 살펴보았다. "펠릭스 잘몬트는 매우 기뻐하고 흥분하였다"고 앨리스는 당시 상황을 일기에 적고 있다. 7월 말, 엘가는 시드니 콜빈에게 "첼로를 위한 협주곡을 거의 완성해가고 있네. 정말 대작이며 나는 이 작품이 대단하며 살아있다고 생각하고 있다네"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냈다.
그는 이 작품을 콜빈과 그의 아내 프란시스에게 헌정하기로 하였고 잘몬트에게 독주를 맡아달라고 요청했다. 잘몬트는 다시 한번 브링크웰즈를 방문하여 마지막으로 덧붙여진 부분들을 연주해 보았으며, 8월 앨리스가 완성된 악보를 런던에 있는 엘가의 출판업자에게 부쳤다.
엘가의 실내악 작품들처럼 간결하고 응집력이 있는 이 첼로 협주곡은 구조적인 면에서 관례적인 것을 벗어나 있다. 통상 3악장 구조로 되어 있는 협주곡 형식에서 벗어나 교향곡과 같은 4악장 구조를 채택하고 있으며, 각각 두 악장씩 짝을 이루도록 배치하였다. 오케스트라의 연주로 시작되는 1악장의 도입방식은, 우울하고 비탄에 잠긴 첼로의 레치타티보로 시작되고 있다. 비올라 파트에서 들려주는 애도의 탄식과 같은 주제가 인상적인 1악장은 중단 없이 밝고 유쾌한 스케르초 악장으로 이어진다.
이 작품의 백미로 꼽히고 있는 아다지오 악장은 엘가의 탁월한 오케스트레이션을 만날 수 있는 악장으로, 오케스트라 위에서 독주 첼로가 자유로이 노래하고 있다.
1악장 도입부와 마찬가지로 첼로의 레치타티보로 시작되는 4악장은 이후 대부분이 활기찬 요소들이 뒤를 잇고 있지만, 여전히 우울한 기운이 잠재되어 있으며, 곡의 끝부분에서 첼로는 아다지오 악장에서의 마음을 애끓게 하는 프레이즈를 가져와 긴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다. 마침내 첼로에서는 바로 첫번째 프레이즈를 갑자기 연주하고, 오케스트라에서 끝을 내버린다. 이 작품에 대해 "가을날의 우울함으로 가득 차 있지만, 그 우울함은 비관적인 것이 아니라 연민에 의한 우울함이다"라고 말한 다이애나 맥베그(Diana McVeagh)의 말처럼, 이 협주곡의 매우 우울한 선율을 통해 엘가는 전쟁으로 희생된 모든 것들­수만 명의 목숨, 그리고 삶의 방식­에 대한 애도를 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잃어버린 것에 대한 애도를 담은 이 협주곡의 초연은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했다. 10월, 퀸즈 홀에서 엘가 자신이 직접 지휘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펠릭스 잘몬트와의 협연으로 초연된 이날 연주회 프로그램에는 엘가의 협주곡 외에도 앨버트 코츠(Albert Coastes)가 지휘하는 스크리아빈과 보로딘의 작품이 같이 올라 있었는데, 앨버트는 엘가에게 할당된 리허설 시간의 상당부분을 자신의 리허설 시간으로 사용해버린 것이다. 결국 엘가의 협주곡 연주는 매우 불만족스러운 것이 되었고, 런던의 한 비평가는 오케스트라에 대해 “유감스럽게도 세상의 웃음거리가 되었다”고 평하였다.
하지만 당대 유명한 비평가였던 어니스트 뉴만(Ernest Newman)은 불완전한 연주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면서도 작품 자체에 대해서는 “아름답고, 매우 간단하다. 지난 2년간 엘가의 음악에서 볼 수 있었던 그러한 간결함으로 가득차 있으면서도 그러한 단순함 밑바닥에는 깊이 있는 현명함과 아름다움을 담고 있다. 평생을 지상의 아름다움에 대한 생각에 잠겨 이를 동경해온 훌륭한 영혼을 느낄 수 있다”고 평하였다.
협주곡 초연이 있은 후, 엘가는 이렇다할 만한 작품을 내놓지 못했다. 벤 존슨의 ‘악마는 당나귀(Devil Is an Ass)’를 기초로 한 오페라 ‘The Spanish Lady’와 피아노 협주곡, 그리고 BBC로부터 위촉받은 3번 교향곡의 작곡을 시작했으나, 이들 모두 스케치만 남아 있을 뿐 완성되지는 못했다. 갑작스런 작곡 활동의 중단은 1920년 평생 창작의 불씨가 되어준 아내 앨리스의 죽음과 그로 인한 내적 공허감으로 말미암아 창작 의욕이 모두 사라진 때문인 듯하다.
바흐·헨델·쇼팽의 작품들을 오케스트라 작품으로 편곡하거나, 행사 음악들을 간혹 작곡하는 것으로 작품 활동을 벌인 엘가는, 대신 명연주로 꼽히는 자신의 주요 작품들을 중심으로 한 일련의 녹음 작업들을 지휘하며 말년을 보내게 되었다. 1933년 마지막 병상에서 친구에게 첼로 협주곡의 제1주제를 불러주며 “내가 죽은 후에 누군가 말번 언덕에서 이 선율을 부르는 휘파람 소리를 듣게 되더라도 놀라지 말게. 그 사람이 바로 나일 테니까…”라고 말한 엘가는 그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운명적이게도, 초연에 참여했던 19세의 전도유망한 연주자가 그로부터 66년 후 영국의 존경받는 지휘자로서, 역시 영국을 대표하는 첼리스트와 함께 이 작품을 녹음, 첼로 레퍼토리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위치에 올려놓게 되었는데, 그들이 바로 존 바비롤리 경(Sir John Barbirolli)과 자크린느 뒤 프레(Jacqueline Du Pre)였다.
이혜진(음악칼럼니스트)



엘가 첼로협주곡 마단조 - 가치와 매력
이 곡의 특징은 먼저 독특한 구성에 바탕을 두고 지극히 간결하게 작곡되었다는 것이다. 전곡은 4악장으로 되어 있지만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앞의 1, 2 악장과 뒤의 3, 4 악장을 묶어 거의 휴식 없이 진행한다. 레치타티보는 각 악장의 첫머리를 장식할 뿐 아니라 곡 중간에서 갖가지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동기나 주제의 요소가 되기도 한다.
특히 3악장의 주제가 4악장에서 교묘하게 취급된다거나 마지막에 1악장의 레치타티보를 다시 가져오는 등 구성에서 뛰어난 독창성을 보인다. 첼로 독주의 기교적인 부분이 관현악과 더불어 과장됨 없이 간결하게 정수만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지극히 실내악적이다.
한편 반음계적 전조로 화성적 색채를 짙게 하는 양식은 바그너의 영향을 받은 듯하며, 감정의 내면적 성향에 있어서는 슈만이나 브람스와 일맥상통하는 면이 있다. 중후한 영국인다운 품격을 갖추고, 적당히 낭만적 서정성을 내포하며, 담담하고 애잔한 우수를 띤 곡으로 세인의 존경을 받고 있다. 시대를 벗어나는 노 대가의 최후의 대작에 걸 맞는 곡이다.

작품 배경
낭만주의 시대에는 음악적 완성도가 높으면서도 대중성이 있는 바이올린 협주곡들이 많이 만들어졌다. 특히, 베토벤, 멘델스존, 브람스, 차이코프스키 등 전문 작곡가들은 물론이고, 니콜로 파가니니를 위시해 파블로 데 사라사테,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등 작곡능력이 있는 뛰어난 비르투오소들도 명작을 발표함으로써 한층 레퍼토리가 풍부해졌다. 덕분에 바이올리니스트들은 마음껏 자신의 기량을 펼친 반면 첼리스트들은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정도로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 일으킬만한 작품들을 만나지 못했다. 물론 예외적인 몇 몇 곡들, 슈만, 생상스,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이 있었으나 바이올린 협주곡에 비하면 수적 열세가 심했다. 그러던 중 파블로 카잘스(Pablo Casals)의 등장과 엘가 첼로 협주곡의 탄생은 첼로 음악계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주었다.
엘가가 이 곡을 쓰게 된 것은 1818년 3월 22일 편도선 절제 수술을 받고 회복기에 있을 때다. 이때는 아직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지 않았을 때인데, 전쟁의 영향 때문이기도 했지만 당시 엘가는 몇 년 은둔에 가까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는 동안 점점 음악팬들의 관심이 시들해지는 것을 감지했고, 스스로 위기의식을 느껴 자신의 명성에 걸맞는 역작을 만들어야겠다는 동기를 갖게 되었다.
한편으로는 대중들의 존경과 사랑을 받아온 중진 작곡가로서 전쟁으로 상처받은 국민들을 음악으로 위로하고 싶은 바람도 가지고 있었다. 그런 그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장르는 첼로 협주곡이었다. 작곡은 1819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했는데, 독주 파트는 당대의 유명 첼리스트이자 오랜 친구인 펠릭스 살몬드(Felix Salmond)의 도움을 받았다. 전곡은 8월 8일 완성했으며, 애초의 계획과는 달리 엘가의 비탄에 잠긴 내밀한 감정이 반영된 작품으로 탄생했다.
이 작품에는 그가 지병을 앓고, 전쟁을 경험하면서 겪었던 충격과 고통이 녹아있으며, 만년에 느끼는 고독하고 허무한 자기 고백이 담겨 있다. 그런데, 엘가는 이점을 오히려 매우 만족스러워했다. 초연은 1919년 10월 27일 런던의 퀸즈 홀(Queen's Hall)에서 펠릭스 살몬드의 첼로와 본인이 직접 지휘한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협연으로 이루어졌다.
오랜만의 컴백 무대였으나 초연은 그의 명성에 흠집을 남길 정도로 실패하였다. 그리고 5개월 후 엘가의 평생 조력자였던 아내 캐롤라인 앨리스(Caroline Alice) 마저 세상을 떠나고 말았는데, 이에 상심한 엘가는 더 이상 작곡에 열의를 보이지 않으며 오랜 공백기에 들어갔다.



구성과 특징
보통의 협주곡들이 3악장으로 되어있는데 반해 이 곡은 마치 교향곡의 구성처럼 4악장으로 되어 있다. 1, 2악장과 3, 4악장이 한데 묶여 쉼 없이 진행된다. 또, 주요 주제가 여러 악장에 걸쳐 나타나며 긴밀한 연관성을 갖는 순환 형식을 취해 곡 전체의 통일성을 높이고 있다.

제 1악장 모데라토
Adagio-Moderato
첫머리를 위엄 있는 첼로의 레치타티보로 연 다음, 단순한 ABA 리드 형식의 1악장이 펼쳐진다. A는 9/8박자로 비올라가 주제를 시작하면 이어 첼로가 받아 단조롭게 노래 부르다 결국 E단조 상행음계로 폭발하듯 솟구친다. 토르틀리에는 이 부분을 겉은 표정 없이 냉정해 보이나 속은 열정으로 끓고 있는 영국인들의 기질 같다고 했다. 반대로 B는 12/8박자로 애교 있는 주제가 계속되는 변주로 여러 가지 표정을 꾸미고 있다.

1악장 아다지오 - 모데라토(Adagio – Moderato) 첼로의 묵직하고 깊은 울림이 있는 연주로 시작되어 장중하고도 비감어린 선율을 들려준다. 이어 감정이 고조되다가 폭발하듯 요동치기도 하는데, 이에 대해 첼리스트 토르틀리에는 “겉은 냉정한 것 같으나 속은 열정으로 끓고 있는 영국인들의 기질 같다.”고 표현했다. 아울러 제2주제는 우아하기 그지없고, 시칠리아노 민속 무곡의 체취도 느낄 수 있다.

제 2악장 알레그로 몰토
Lento-Allegro Molto
기타적 효과를 노리는 첼로의 레치타티보로 시작되는데, 자유로운 소나타 형식으로 되었다. 몰아치는 첼로의 스파카토와 이에 대응하는 목관과 투티가 점화법으로 그려진 한 폭의 그림을 연상시킨다.

2악장 렌토 - 알레그로 몰토(Lento - Allegro molto) 해방감과 생동감을 느끼게 해주는 스케르초풍의 악장이다. 특히 G장조의 무궁동은 내면의 슬픔을 극복하고 새롭게 나아가려는 의지를 나타내는 듯이 보인다.

제 3악장 아다지오 Bb장조 8분의 3박자
Adagio
단지 60마디로 되어있지만 명상적인 분위기를 구축하며 협주곡의 중심을 이룬다. 영국 에어풍의 멜로디를 느린 속도로 최대한 확대하고 전조를 수단으로 하여 낭만적이며 서정적 아름다움을 절정에 이르게 한다. 그러나 마지막 부분은 마치 질문을 던지듯 V7화음을 페르마타로 길게 울린 다음 곧바로 4악장으로 이어진다.

3악장 아다지오(Adagio) 탁월한 멜로디 메이커로서의 역량을 과시한 악장이다. 노래하는 듯한 아리아풍의 낭만적인 선율은 편안함을 선사하며 행복한 상상을 이끌어낸다.

제 4악장 알레그로
Allegro-Moderato-Allegro Ma Non Troppo
투티에 의한 주제가 제시되면 '레치타티보처럼' 이라고 지시된 첼로 솔로가 주제를 느리고 자유롭게 이끌다가 간단한 카덴차로 일단락 짓는다. 그 다음 유머러스한 주제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며 자유로운 론도 형식을 꾸며간다. 끝으로 가면서 속도는 점점 느려지고 2/4박자에서 4/4박자로 바뀌면서 3악장의 분위기가 되 살아난다. 무엇인가를 찾아 헤매는 듯 보이다가 결국 3악장 주제를 재현하고, 이어 1악장의 레치타티보를 엄숙하게 토로한 후 알레그로 몰토로 힘차게 피날레를 장식한다.

4악장 알레그로 - 모데라토 -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Allegro - Moderato - Allegro, ma non troppo) 전곡 중 가장 강렬하고 드라마틱한 악장이다. 첼로가 종횡무진하며 곡을 주도하는데, 때론 탄식을 자아내고, 체념에 젖게 한다. 곡이 진행되면서 앞선 악장들의 선율이 조금씩 등장하는가 하면 카덴차에서는 3악장의 주제도 등장하며 내면의 복잡한 감정들을 풀어낸다. 이어 마지막에는 아다지오의 주제를 재현한 후 열기를 내뿜으며 극적으로 끝을 맺는다.

고결한 슬픔의 협주곡 엘가 첼로 협주곡 e단조
왜 전부 남자들뿐일까? 혹시 그런 의구심을 가져본 적 있는지요? 우리가 흔히 ‘클래식’이라고 부르는 서양음악의 역사에서 여성의 이름을 만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역사 이래로 모든 권력이 남성에게 쏠려 있었으니 당연한 일이겠지요. 여성은 남성에 비해 연약하고 열등한 존재, 그래서 남성의 보살핌과 지배를 받는 존재로 수천 년간 인식돼 왔습니다. 그 오랜 세월 동안 재능과 끼를 가진 여성들이 숱하게 많았겠지만, 대부분 재능을 꽃 피워보지도 못한 채 사라졌을 겁니다. 물론 아주 드물긴 하지만 여성이 음악사에 등장하는 경우들이 가끔 있긴 했지요. 예컨대 중세 시대에도 힐데가르트 폰 빙엔(Hildegard von Bingen, 1098-1179), 브리지타 폰 슈베덴(Birgitta von Schweden, 1303~1373) 같은 여성 작곡가들이 있었습니다. 한데 이 두 명은 중세 가톨릭의 ‘고위층 수녀’였지요. 말하자면 종교적 권위를 지닌 사람들이었기에 음악을 작곡해 이름을 남기는 것이 가능했습니다.
근대로 들어오면서 여성 음악가들의 이름이 조금씩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누가 있을까요? 모차르트의 누나 나네를, 멘델스존의 누나 파니, 또 슈만의 아내이자 당대의 피아니스트 클라라 등이 떠오릅니다. 하지만 어떤가요? ‘모차르트의 누나’, ‘멘델스존의 누나’, ‘슈만의 아내’ 같은 수식어들이 꼭 따라붙습니다. 말하자면 동생이나 남편의 삶 속에서 의미를 부여받는 부차적 존재로 여겨지는 것이지요. 재능은 뛰어났지만 사회적으로 여전히 숱한 제약을 받아야 하는 시대에 살았던 탓입니다.
모차르트의 아버지 레오폴트는 딸 나네를에게 아예 작곡을 가르치지 않았지요. 배워봤자 소용없는 일이라고 여겼던 겁니다. 이 아버지는 나네를이 18세가 되자 “이제 집에서만 연주하라”며 연주여행마저 금합니다. 파니는 어땠나요? 그녀는 피아노 연주뿐 아니라 작곡에도 뛰어났던 음악가였습니다. 하지만 역시 아버지인 아브라함 멘델스존이 ‘적’이었지요. “음악은 너한테 장식일 뿐이니, 결혼 준비나 잘 하라”는 것이 아버지의 명령이었습니다. 결국 파니는 집안 친지들 앞에서 연주하면서 아까운 재능을 썩혔지요. 또 클라라는 10대 시절부터 당대의 피아니스트로 이름을 떨쳤지만 남편을 위한 내조와 육아의 짐을 내려놓을 수 없었습니다. 스물한 살에 결혼한 그녀는 아이를 여덟 명이나 낳았지요. 그중 한 아이는 어릴 때 세상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일곱을 키우는 일이 간단치 않았을 겁니다. 그녀는 자신의 일기에 “로베르트가 작곡하는 동안, 나는 밀린 일을 해야 한다. 나 자신을 위해 한 시간도 쓸 수가 없다”고 털어놓기까지 합니다.
음악에서 여성들의 진출이 활발해진 것은 20세기에 들어와서의 일이지요. 오늘날에는 지휘자와 작곡가, 또 오케스트라에서도 여성 연주자들을 자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피아노와 바이올린, 관악기 중에서도 플루트와 오보에 같은 악기들에서 여성들의 활약이 두드러집니다. 최근에는 금관과 타악기에서도 여성 연주자들의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한데 첼로는 많은 악기들 중에서도 특히 오래도록 ‘금녀의 악기’로 여겨졌습니다. 다리 사이에 끼고 연주하는 모습이 여성답지 못하다는 인식 때문이었지요. 물론 지금 생각하면 얼토당토않은 이야기입니다. 한데 그 잘못된 터부를 허물어뜨린 여성은 누구였을까요? 바로 포르투갈 태생의 첼리스트 귀예르미나 수지아(Guilhermina Suggia, 1885-1950)였습니다. 때로는 ‘파블로 카잘스의 연인’으로 포장되기도 하지만 그런 건 별로 중요한 얘기가 아닌 것 같습니다. 수지아는 20세기 초반에 주로 활약했던 첼리스트입니다. 영국의 화가 어거스트 에드윈 존(1878-1961)이 그녀의 연주 장면을 회화 작품으로 남겨놓고 있는데, 그림 속의 수지아는 약간 매부리코에 팔다리가 아주 긴 체형입니다. 참으로 아름답고 당당한 모습이지요. 그래선지 ‘첼로의 헤라클레스’라는 별명이 따라붙기도 하는데, 이 또한 남성 중심적 표현 같습니다. 또 그녀를 일컬어 ‘세계 최초의 여성 첼리스트’라고도 하지만 이 역시 정확한 표현이라고 볼 수는 없겠지요. ‘여성 첼리스트로 이름을 날린 최초의 연주자’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겁니다. 그녀는 음반으로 연주를 들어볼 수 있는 최초의 여성 첼리스트입니다. 물론 음반을 구하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세계 최초의 여성 첼리스트’ 귀예르미나 수지아
수지아는 세상을 떠나면서 이런 유언을 남겼지요. ‘내 스트라디바리우스 첼로를 팔아서 대영제국 예술위원회가 관리하는 수지아 재단의 기금으로 쓸 것, 국적에 관계없이 뛰어난 잠재력을 지닌 스물한 살 미만의 첼리스트에게 수지아 상을 수여할 것.’ 포르투갈에서 태어난 그녀가 영국의 예술위원회에 기금을 맡긴 것은 자신이 연주자로서 큰 성공을 거둔 곳이 영국이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한데 ‘국적에 관계없이’라는 단서가 있긴 하지만 영국 예술위원회가 수상자를 선정하면서 영국인을 더 염두에 둔 것은 당연한 일이었겠지요. 그래서 재미있는, 어찌 보자면 매우 의미 있는 인연이 만들어집니다. 1956년, 수지아 상의 첫 번째 수상자가 다름 아닌 열한 살의 꼬마 재클린 뒤프레(1945-1987)였던 것이지요.
수지아가 세상을 떠나기 5년 전에 태어났던, 그리고 지금도 세계인들이 가장 사랑하는 여성 첼리스트로 손꼽히는 뒤프레는 그렇게 ‘신동 첼리스트’로 세상에 등장합니다. 이어서 17살이던 1962년, 런던 로열 페스티벌 홀에서 엘가의 첼로 협주곡 e단조로 성인 연주자 신고식을 치르지요.
엘가의 첼로 협주곡 e단조는 이 두 명의 여성 첼리스트들이 즐겨 연주했던 레퍼토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사실 첼리스트들에게는 협주곡 레퍼토리가 그다지 많지 않은 게 사실입니다. 하이든, 생상스, 드보르자크, 슈만 등 손에 꼽을 정도로 제한적입니다. 이렇게 레퍼토리도 부족했을 뿐더러 수지아의 전성기 활동 무대가 런던이었기 때문에, 또 뒤프레에게는 엘가야말로 모국의 대표적인 작곡가였기 때문에 그의 협주곡을 자주 연주했을 겁니다. 뒤프레는 이 곡으로 데뷔했을 뿐 아니라, 1965년 존 바비롤리(1899-1970)가 지휘하는 런던 심포니와의 협연을 지금까지도 사랑받는 명연으로 남겼습니다. 아마도 엘가의 첼로 협주곡을 녹음한 음반 중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린 음반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말하자면 엘가의 협주곡은 그녀를 대표하는 레퍼토리였고, 거꾸로 보자면 그녀로 인해 엘가의 협주곡이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게 됐다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1857년 영국 브로드히드의 농촌에서 태어난 엘가는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이른바 후기 낭만주의 시대의 영국을 대표하는 작곡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랜 세월 자국의 작곡가를 배출하지 못했던 영국의 음악적 자존심을 세워준 인물로 평가받지요. 고상한 격조와 우울한 슬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땅에 대한 짙은 향수 같은 것들이 음악에서 배어 나옵니다. 당연하게도 영국인들의 칭송과 자부심이 예나 지금이나 대단하지요. 비슷한 연배의 영국 작곡가로는 네 살 아래의 프레데릭 델리어스가 있는데, 그는 생애의 대부분을 프랑스에서 보냈습니다. 음악적 스타일도 프랑스의 인상주의와 독일의 후기 낭만주의가 혼합된 양식을 보여줍니다. 좀 더 아래로 내려가면 본윌리엄스(1872-1958)가 엘가에 이어 영국적인 스타일을 구축하지요. 영국의 민요에 대한 애착, 아울러 약간의 신비주의적 성향이 담긴 음악들을 썼습니다. 또 한 명의 영국 작곡가인 구스타프 홀스트(1874-1934)도 민요에서 영향 받은 음악들을 많이 썼고 신비주의적 경향을 보여준 음악가였습니다. 특히 그는 선배인 엘가와 친분이 돈독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첼로 협주곡 e단조는 엘가의 음악인생에서 마지막을 장식하는 작품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그는 자신에게 유명세를 안겨줬던 <수수께끼 변주곡>을 1899년 발표했고, <위풍당당 행진곡>을 1901년 프롬나드 콘서트에서 초연했지요. 첼로 협주곡 e단조는 60세가 넘은 1918년에 작곡을 시작해 1919년에 세상에 선보입니다. 오케스트라의 음향을 절제하면서 독주악기인 첼로의 역할을 뚜렷하게 부각하고 있는 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어쩌면 그것은 갈수록 웅장하고 거창해지는 후기 낭만주의의 관현악법에 대한 반발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간결하면서도 애절한 ‘첼로의 노래’에 좀 더 집중하고 있는 협주곡입니다.
그런데 결과적으로 이 곡은 사랑하는 아내와의 이별을 예감한 음악이 되고 말았습니다. 첼로 협주곡 e단조가 초연되고 다섯 달 뒤에 엘가의 아내 캐롤린 앨리스가 세상을 떠났기 때문입니다. 그 아내는 엘가에게 매우 특별한 존재였다고 하지요. 원래는 엘가의 제자였습니다. 엘가는 29세였던 1886년에 자신보다 9년 연상인 앨리스를 제자로 받아들였다가 사랑에 빠집니다. 하지만 엘가는 가난한 평민이었고 앨리스는 귀족의 딸이었습니다. 두 사람은 앨리스 집안의 격렬한 반대를 무릅쓰고 1889년 5월 결혼합니다. 그래서였는지 엘가의 아내 사랑은 대단히 지극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젊은 시절에 작곡했던 아름다운 바이올린 소품 <사랑의 인사>가 바로 아내를 생각하며 쓴 음악이지요.
사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앨리스는 그다지 미인은 아닙니다. 하지만 사랑 때문에 모든 것을 포기하고 엘가에게로 왔던 그녀는 헌신적으로 남편을 내조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그녀는 엘가의 음악에 영감을 주는 뮤즈였을 뿐 아니라 작곡에 대한 비평가이기도 했습니다. 영국의 귀족 사회에 적응하지 못했던 평민 출신의 작곡가 엘가, 그래서 심하게 내향적이거나 때로는 대인기피증까지 보였던 남편을 돌봐주고 격려한 ‘어머니’이기도 했습니다. 엘가는 아내가 세상을 떠난 뒤 런던 근교 햄스테드에 있던 대저택을 팔고 고향으로 내려가 거의 은둔하다시피 합니다. 이후 몇 곡의 소품을 제외하곤 작곡을 해달라는 모든 제의를 거절한 채 살다가 1934년에 77세를 일기로 타계하지요.
첼로 협주곡 e단조는 고결한 슬픔의 협주곡입니다. 모두 4개 악장으로 이뤄졌지요. 1악장과 2악장은 구분 없이 연주됩니다. 첫 악장에서 등장하는 첼로의 격렬하면서도 슬픈 노래를 기억하기 바랍니다. 이 서주는 전곡을 통해 빈번히 등장합니다. 클라리넷이 잠시 첼로의 슬픔을 달래주다가 명상적인 느낌의 주제 선율이 연주됩니다. 반면에 2악장은 활기찹니다. 스케르초 풍으로 들리는 경쾌한 악장입니다. 16분 음표를 스타카토로 연주하는 장면에 귀를 기울여보기 바랍니다. 3악장은 깊은 인상을 남겨주는 가요풍의 악장입니다. 가슴을 파고드는 첼로의 비가(悲歌)가 느릿하게 울려 퍼집니다. 행진곡풍으로 문을 여는 4악장은 매우 격렬하고 뜨겁습니다. 첼리스트의 기교와 에너지가 폭발하는 악장입니다.
글 / 문학수


영국의 낭만파 작곡가 에드워드 엘가 경(1857~1934)

엘가
Sir Edward Elgar 1857∼1934
영국 작곡가. 우스터 근교 브로드힐 출생. 교회의 오르가니스트인 아버지로부터 음악 기초를 배웠으나, 작곡은 독학으로 익혔다. 초기에는 지방음악가로 활동했으나, 곧 작곡가로 활동을 시작하여 관현악곡 《에니그마 변주곡(1899)》, 오라토리오(聖譚曲) 《제론티우스의 꿈(1900)》 등으로 지위를 확립했으며, R. 슈트라우스의 칭찬으로 유럽대륙까지 이름이 알려지게 되었다. 엘가의 본래 영역은 합창을 이용한 오라토리오·칸타타 등이었으나 교향곡·협주곡 등 관현악작품에서 수완을 발휘했다. 그의 음악은 후기낭만파의 영향을 받았으며, 친숙해지기 쉬운 선율과 장인적(匠人的) 기교로써 고귀한 인간감정을 표현하여 영국 국민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는 동시에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행진곡 《위풍당당》의 5곡 가운데 1902년 에드워드 7세 대관식에서 사용한 제 1 번곡이 가장 잘 알려져 있다.